핀 배치
|
IC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되는 것은 핀 배치에 관한 것입니다. 그러므로 배선하기 전에 반드시 핀 배치를 확인해야 합니다.
|
|
최대 정격 (Absolute maximum ratings)
|
IC를 사용함에 있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격이 최대 정격입니다. 순간적이라도 이 최대정격을 넘는 조건에서 IC를 사용하면 IC가 손상되거나 성능이
크게 떨어지게 됩니다.
|
|
TTL(74LS 시리즈)의 예
|
전원전압 VCC
|
7V
|
입력전압 Vin
|
5.5V
|
3스테이트형이 OFF일경우 출력핀의 허용전압
Off-State Output Voltage
|
15V
|
보존온도
|
-65 ~ +150도
|
|
|
CMOS(4000시리즈)의 예
|
전원전압 VDD
|
-0.5 ~ +20V
|
입력전압 Vin
|
-0.5 ~ VDD + 0.5V
|
입력 전류 Iin
|
+-10mA
|
보존온도
|
-65 ~ +150도
|
|
|
권장 동작 조건 (Recommended operating conditions)
|
IC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권장 동작 조건의 범위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.
|
|
권장 동작 조건의 예
|
|
TTL(74LS시리즈)
|
CMOS(4000시리즈)
|
전원 전압
|
4.75 ~ 5.25V
|
3 ~ 18V
|
동작 온도
|
0 ~ 70도
|
-40 ~ 85도
|
|
|
CMOS의 경우 권장 동작 전원전압의 범위는 시리즈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
|
|
시리즈
|
권장 전원전압
|
4000
|
3 ~ 18V
|
4000H
|
2 ~ 8V
|
74HC
|
2 ~ 6V
|
74HCT
|
4.5 ~ 5.5V
|
74AC
|
2 ~ 5.5V
|
|
|
전기적 특성
|
데이터시트에는 논리레벨, 흡입전류, 토출전류, 소비전력, 전달 지연 시간등 IC의 전기적 특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.
|
|
VIH - 입력이 'H'일때의 전압
VIL - 입력이 'L'일때의 전압
IOH - 출력핀이 'H'일때의 토출전류
IOL - 출력핀이 'L'일때의 흡입전류
PW - 소비 전력
tPD - 전달 지연시간
|
|
스위칭 특성
|
게이트에서는 입력신호가 들어온 후 출력신호가 나오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립니다. 그 시간을 전달 지연시간이라고 부릅니다. 그리고 전달 지연 시간에
관한 전기적 특성을 스위칭 특성이라고 부릅니다.
|
|
예를 들어 펄스 하나를 게이트 IC에 입력하는 경우
|
|
그림과 같이 펄스는 실제로는 타이밍 차트상에서 완전한 사격형이 아닌 사다리꼴의 모양이 됩니다. 이것은 신호가 스위칭될때 약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.
완전한 신호 'H'일때의 전압을 기준으로 10%에서 90%로 올리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상승시간(tTLH 또는 trc)라 합니다. 반대로 90%에서
10%로 내리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하강시간(tTHL 또는 tfc)라고 합니다.
|
|
정논리와 부논리, 엣지
|
|
위 그림의 IC는 74LS138라는 TTL IC입니다. G2A와 G2B단자에 ○표시가 있습니다.
이는 해당 핀이 부논리에서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즉 해당핀이 'L'이 되어야 Enable됨을 의미합니다.
마찬가지로 출력핀에도 ○표시가 있는데 이는 해당 핀이 부논리로 작동함을 의미합니다.
|
|
위의 IC는 74LS74라는 IC입니다. CLOCK1,2핀에 삼각형모양의 표시가 있습니다. 이것은 펄스에 의한 동작을 의미하는 데 신호변화에 따라
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.
|
|
즉 74LS74의 경우 상승엣지이므로 해당 핀이 L에서 H로 변하는 순간 작동하게 됩니다.
|